Tolkien 위키
잔글 (가독성)
태그: 시각 편집 apiedit
태그: 시각 편집 apiedit
37번째 줄: 37번째 줄:
 
*관계대명사는 정관사 "i"로 표현하며, 의문사는 ma혹은 man으로 표현한다.
 
*관계대명사는 정관사 "i"로 표현하며, 의문사는 ma혹은 man으로 표현한다.
 
*부정어, 부정형 문장은 ú~ 등의 접두사나 la, law 등의 부사를 통해 표현한다.
 
*부정어, 부정형 문장은 ú~ 등의 접두사나 la, law 등의 부사를 통해 표현한다.
*형용사는 명사의 뒤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명사의.
+
*형용사는 명사의 뒤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명사의.명사의 수를 따른다.
*형용사는 명사의 수를 따른다.
 
 
*형용사는 명사 뒤에서 일반적으로 연음화한다.
 
*형용사는 명사 뒤에서 일반적으로 연음화한다.
 
*소유격 인칭대명사 또한 명사의 뒤에 위치하며, 형용사와 소유격 인칭대명사가 한꺼번에 붙은 경우에 정해진 순서는 없다.
 
*소유격 인칭대명사 또한 명사의 뒤에 위치하며, 형용사와 소유격 인칭대명사가 한꺼번에 붙은 경우에 정해진 순서는 없다.

2015년 4월 5일 (일) 14:46 판

다른 이름 높은요정어:Sindarin, 회색요정어:Edhellen, 영어:Gray Elven tongue
작품 속 사용자 신다르, 놀도르, 곤도르인 등
책 표기 신다린, 회색요정의 언어

'신다린'이라는 단어는 회색요정어가 아니라 높은요정어(퀘냐)이다. 회색요정어로 회색요정어를 가리키는 말은 보통 에델렌Edhellen이지만, 책에서는 거의 신다린으로 지칭되고 있다.

텔레리의 텔레린에서 발전되어 나왔으며, 퀘냐와도 많은 단어를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같은 단어라도 발음은 퀘냐와 다른 경우가 많다. 지역이나 종족에 의해 자가적으로 발전한 여러 가지가 있어 다양한 방언 형태가 존재한다.

실제 언어와의 관련성

웨일스어가 주 모델이며, 라틴어 억양을 사용한다. 라틴어 문법을 상당수 차용한 모습이 보인다.


문자

  • 키르스텡과르로 표기한다. 지역이나 시대에 따라 다른 표기법이 존재한다.
  • <반지의 제왕>이나 <실마릴리온>등의 책에서 서술될 때는 보통 로마자 알파벳 표기 가 사용된다.

문법의 개괄적 특징

  •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 순서가 기본이다.
  • 문장 속 단어의 성분은 단어의 형태에 따라 구분된다. 각 단어가 동사인지, 명사인지, 형용사인지, 부사인지를 나타내는 분명한 어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각 단어에는 다양한 격 어미(주격/목적격/여격/동작격...등)를 더해 의미를 확실하게 하고, 접두사와 접미사를 붙여 더 많은 뜻을 파생시킨다. 접두/접미/격으로 인해 문장 속 각 구성성분의 성격이 더욱 분명해지기 때문에, 여러 구문을 이어 붙인 복합문이 별로 필요하지 않다.
  • 명사에는 관사가 붙지 않는다.
  • 영어와 같이 명사를 한정할 때 단수정관사 "i"(연음화 야기)나 복수정관사"in"(비음화 야기)이 사용되며, 전치사 뒤에 -n의 형태로 붙어 사용되기도 한다 (예: nan aran(to the king, 왕에게로))
  • 정관사가 붙은 명사나 고유명사는 형태 변이나 전치사 사용 없이 소유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두 번째 명사가 일반 명사인 경우 정관사 혹은 소유격 관사 en(비음화 야기)을 붙여 표기한다 (예: Aran Mora (모리아의 왕), Cabed-en-Aras(사슴의 도약))
  • 고대 신다린에서는 단수, 복수, 양수의 세 가지 수가 있었으며, 반지 전쟁 시기에 양수는 일반적으로 쓰이지 않고 고어체의 이름(Orgaladhad '두 나무의 날')이나 본래 두 짝이 한 쌍인 명사에만 쓰인다 (lhaw '귀')
  • 반지 전쟁 시기에는 단수, 복수, 집합복수형(Collective plural/Class plural/Coll. pl.)의 세 가지 수가 쓰인다. 집합복수형(Collecive plural)은 명사에 접미사 ~ath를 붙여 만들고 같은 이름을 가진 모든 복수형 명사가 하나의 집합으로 결합한 형태이다. 예를 들어, 가운데땅을 가리키는 Ennorath는 ennor(땅)의 집합복수형으로 가운데땅을 이루는 모든 땅의 집합을 가리킨다.
  • 명사가 복수형이면 형용사도 복수형이다.
  • 명사에 성(gender)은 없으나, 특정 명사는 분간해 사용된다. (예: meldir(남자인 친구) meldis(여자인 친구)) 혹은 성을 나타내는 의미를 강조한 접미사가 붙을 수 있다.
  • 1,2,3인칭 주격 대명사는 동사에 붙은 격 어미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로 떼어 쓸 경우에는 특별한 강조의 의미가 있다.
  • 직접 목적어와 간접 목적어가 있는 경우, 영어와 달리 직접 목적어가 앞에 온다. (예: Ónen i-Estel Edain (나는 인간에게 희망을 주었다)
  • 관계대명사는 정관사 "i"로 표현하며, 의문사는 ma혹은 man으로 표현한다.
  • 부정어, 부정형 문장은 ú~ 등의 접두사나 la, law 등의 부사를 통해 표현한다.
  • 형용사는 명사의 뒤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명사의.명사의 수를 따른다.
  • 형용사는 명사 뒤에서 일반적으로 연음화한다.
  • 소유격 인칭대명사 또한 명사의 뒤에 위치하며, 형용사와 소유격 인칭대명사가 한꺼번에 붙은 경우에 정해진 순서는 없다.
  • 서수와 기수가 존재하며, 명사 뒤에 위치한다.
  • (한국어처럼) 동사 중심 언어이다.
  • 동사에는 크게 커먼 엘다린에서 그대로 내려온 I-동사와 ~a 어미를 붙여 파생시킨 A-동사가 있다.
  • 동사 원형은 문장에서 쓰이지 않으며, 뒤에 ~를 붙여 표현하고 어미를 통해 직설법, 명령법, 가정법, 부정사, 동명사, 분사, 수, 인칭을 나타낸다.
  • 동사의 직설법 시제에는 크게 현재형, 과거형, 미래형이 있다.
  • 분사에는 능동분사, 능동완료분사, 수동분사가 있다.
  • 'to be(~이다,~되다)'동사 "na" 가 있지만 자주 쓰이지는 않는다. 대부분의 표현에 일반 동사를 사용한다. 때문에 be동사를 많이 쓰는 영어보다 훨씬 문장이 간결하다.

의견, 추측

  • Helge K. Fauskanger의 이론에 따르면, 동사의 현재형은 부정과거(Aorist. 시간과 관계없는 사실을 나타냄. 현재 기본 시제로 사용됨), 현재진행(지금 일어나는 중인 동작)이 나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동사의 미래형 또한 단순미래(Future aorist)와 미래진행(Future contuative)으로 나뉠 가능성이 있다.
  • Didier Willis에 따르면, 집합복수형(Class plural)에는 집합복수형(Collective plural)과 일반복수형(General plural)이 있고 접미사 -rim혹은 -hoth에 의해 종족 혹은 민족 등을 나타내는 복수형을 일반복수형으로 간주할 수 있다고 본다.

관련 사이트

  • 영어) 아르달람비온(아르다의 언어들에 대하여) Ardalambion

관련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