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lkien 위키
Advertisement
"온통 물바다라서 모두 치워놓고 식당으로 가겠네." — 골목쟁이네 프로도

이 문서는 톨킨 위키 문서 작성 형식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이 문서를 정리해 주세요.

아만에 도달한 요정들 중 텔레리가 아닌 이들의 언어를 말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더 좁은 의미로, 가운데땅 놀도르의 언어를 가리킨다.

가운데땅 제 3시대에는 전반적으로 학문을 위한 옛 언어 정도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대화를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고 주로 '쓰는'용도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그러한 작품 내 설정은 실제 언어에서의 라틴어와 비슷한 위치를 나타내려 한 것으로 보인다. <반지의 제왕>이나 <실마릴리온>에도 그리 많은 양이 등장하지는 않는다.

실제 언어와의 관련성[]

핀란드어가 주 모델이다. 소리와 격변화에서 유사한 분위기를 가져왔다. 라틴어 억양을 사용하고, 라틴어 및 고대 그리스어 문법도 포함하고 있다.

문자 표기[]

  • 텡과르로 표기한다. 요정들의 역사 초기에는 사라티로 표기했을 것이다. 지역이나 시대에 따라 표기법이 조금씩 달라진다.
  • <반지의 제왕>이나 <실마릴리온>등의 책에서 서술될 때는 보통 로마자 알파벳 표기가 사용된다.

발음[]

아래 내용은 quenya101을 기준으로 하였다. (작성 중)

번호 텡과르 로마자
표기
발음기호 소리 추가설명
1 Tinco
tinco
팅코
t t 듣기 영어의 T

무성 치경 파열음

2 Parma
parma
빠르마
p p 듣기 영어의 P

무성 양순 파열음

3 Calma
calma
칼마
c k 듣기 영어의 K. 로마자 c로 표기하지만 s음은 절대 나지 않는다.

무성 연구개 파열음

5 Ando
ando
안도
nd nd 듣기

한국어로 치면 종성ㄴ+ㄷ. 보통 앞,뒤에 모음이 붙는다.

연구개 비음+유성 치경 파열음

7 Anga
anga
앙가
ng ŋ͡g 듣기 종성ㅇ+ㄱ. 보통 앞,뒤에 모음이 붙는다.

연구개 비음+유성 연구개 파열음

9 Thuule
thúle
쑬-레
th, þ θ 듣기 고대 영어, 고대 노르드어, 아이슬란드어의 þ

현대영어의 th[θ]와 '거의' 유사한 발음.
혀를 윗니 뒷쪽 근처에 가볍게 대며 소리를 낸다.
나중에 이 발음은 모두 부드러운 s로 바뀌었다. 글자의 이름도 súle술-레가 되었다.
{요정어 사전에서 s가 들어간 단어 뒤에(þ)가 붙은 경우,
초기의 þ소리가 나중에 s로 바뀐 단어라는 것을 나타낸다.[1]}
무성 치경(비 치찰)마찰음

21 Oore
óre
오-레
r
(단어 끝/자음 앞)
ɹ 듣기

영어 대부분의 R

치경 접근음

25 Roomen
rómen
로-멘
r ɾ 듣기 스페인어의 부르르 떨리는 R

한국어 초성ㄹ(라면,가로)
치경 탄음

27 Lambe
lambe
람베
l l 듣기 영어의 L, 종성ㄹ(돌,물)

치경 설측 접근음

33 Hyarmen
hyarmen
햐르멘
h(맨앞) h 듣기 영어의 대부분의 H. 한국어 단어 맨 앞의 ㅎ.
초기 퀘냐에서는 발음이 hy였다가 h로 바뀌었다.

성문 마찰음



문법의 개괄적 특징[]

  •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 순서가 기본이다. 하지만 강조하려는 단어를 앞으로 보낼 수 있는 등 어느 정도 자유롭다.
  • 문장 속 단어의 성분은 단어의 형태에 따라 구분된다. 각 단어가 동사인지, 명사인지, 형용사인지, 부사인지를 나타내는 분명한 어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각 단어에는 다양한 격 어미(주격/목적격/여격/동작격...등)를 더해 의미를 확실하게 하고, 접두사와 접미사를 붙여 더 많은 뜻을 파생시킨다. 접두/접미/격으로 인해 문장 속 각 구성성분의 성격이 더욱 분명해지기 때문에, 여러 구문을 이어 붙인 복합문이 별로 필요하지 않다.


  • 명사에는 관사가 붙지 않는다. 대신 매우 다양한 복수형이 있다.
  • 정관사 "i"  는 강조를 위해 드물게 사용된다. (영어의 The 에 해당하지만, 영어만큼 많이 쓰지 않는다)
  • 명사가 복수형이면 형용사도 복수형이다.
  • 명사에 성(gender)은 없으나, 성별과 관련이 있는 특정 명사는 분간해 사용된다. 혹은 성을 나타내는 의미를 강조한 접미사가 붙을 수 있다.
  • 1,2,3인칭 대명사는 동사에 붙은 격 어미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로 독립적으로 쓸 경우에는 특별한 강조의 의미가 있다.


  • (한국어처럼) 동사 중심 언어이다.
  • 그러나 꾸미는 말은 부사보다 형용사가 다수이다.
  • 동사에는 동사원형이 있으며, 동사원형은 문장 속에서 그대로 사용될 수 없다.
  • 동사의 시제는 다섯 가지다. 부정과거(Aorist. 시간과 관계없는 사실을 나타냄. 현재 기본 시제로 사용됨), 현재진행(지금 일어나는 중인 동작), 과거(현재까지 영향이 있는지 알 수 없는 과거), 완료(현재까지 영향을 미치는 과거), 미래
참조) 동사원형: 하다 / 부정과거: 한다 / 현재진행: 하고 있다 / 과거: 했었다 / 완료: 했다 / 미래: 할 것이다
  • 'to be(~이다,~되다)'동사 "na" 가 있지만 자주 쓰이지는 않는다. 대부분의 표현에 일반 동사를 사용한다. 때문에 be동사를 많이 쓰는 영어보다 훨씬 문장이 간결하다.

네오퀘냐[]

톨킨 팬들이 실제로 쓰기에 용이한 것은 회색요정어 보다 높은요정어 쪽이다. 팬 언어학자들에 의해 문법의 정리도 잘 된 편이다. 그러나 역시 회화문은 많지 않기에, 회화를 하고 싶다면 앞으로 만들어 가야 한다고 보면 된다.

팬들이 톨킨의 언어에 부족한 단어를 보강하고 실제로 사용하기 위해 다듬는 작업과 결과물에는 언어 이름 앞에 Neo-를 붙여 부른다. 높은요정어(퀘냐)의 경우 네오퀘냐(NeoQuenya)라고 한다. 이러한 작업에는 톨킨이 만들어 둔 어근root들을 주의깊게 이용하고, 가까운 계통의 언어를 참조한다.

  • 초기퀘냐(Qenya)단어들을 살펴보고, 퀘냐 단어 형식에 맞게 변형한다.
  • 신다린 단어에 있는지 살펴본 다음 퀘냐 단어 형식에 맞게 변형한다.
  • 초기 요정어 단어에 있는지 살펴본 다음 퀘냐 단어 형식에 맞게 변형한다.
  • 요정어 어원 목록 을 살펴본 다음 적절한 것을 골라 퀘냐 형식의 단어로 만들어낸다.
  • 이미 있는 두 개 이상의 단어를 합쳐 새로운 뜻을 파생시킨다.

의견,추측[]

  • 문법적인 면에서는 프랑스어나 스페인어와 같은 로망스어군 언어와도 유사성을 찾아볼 수 있다.Loorien (토론) 2015년 1월 22일 (목) 07:52 (UTC)
  • <실마릴리온>색인에는 모든 요정들이 공유하는 고대어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그것은 초기 공통 요정어를 올바로 계승하는 언어가 퀘냐라고 여기는 퀘냐 사용자들의 관점이라는 말도 있다. 보통 초기 공통 요정어에서 퀘냐와 텔레린(신다린의 조상어)이 갈라진 것은 대장정 때로 보고 있다(톨킨 언어 항목 참조) Loorien (토론) 2015년 1월 22일 (목) 16:55 (UTC)

각주[]

  1. 이 경우 로마자 표기는 s라도 텡과르 표기는 실메가 아닌 술레를 쓰는 것이 정확한 표기이다.


관련 사이트[]

네오퀘냐 관련 사이트[]

  • (네오퀘냐) 네오퀘냐 위키 NeoQuenya Wiki -네오퀘냐로 쓰는 톨킨위키백과
  • (영어) 빙퀫타빠르마 VinQuettaParma -네오퀘냐/네오신다린 연구 커뮤니티
Advertisement